웹툰 베스트 커뮤니티 포인트충전 쇼핑몰  
덕후순위조회
0위
포인트충전
덕후모집배너 덕후신청하기 덕후글쓰기
[덕후 게시판] [항공우주국] 26년간 우주망원경 왕좌를 지켰던 허블망원경을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이 드디어완성~~~ 외계 생명체 탐색과 우주…
상세 내용 작성일 : 16-11-04 08:58 조회수 : 355 추천수 : 0

본문

d2ae53e7652116a6b56bd104d679e0ea_1478217
JWST는 NASA와 유럽우주국(ESA), 캐나다우주국(CSA)이 공동 제작하는 거대 우주망원경이다.

최종 테스트 과정을 거쳐 2년 후인 2018년 10월 우주로 발사~~~ 퇴역예정인 허블 우주망원경에 이어 우주 신비를 밝히는 임무를 수행~~~ JWST는 반사경 직경이 6.5m로 허블우주망원경(2.4m)의 2.7배로우주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거울은 베릴륨으로 제작됐고 표면에 반응성이 낮은 금 박막이 코팅됐다고하는데과연?????

또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상 약 569㎞ 저궤도에 떠있지만 JWST는 지상 약 150만㎞에 띄워져 더 멀리 볼 수 있다. JWST가 머무는 `라그랑주` 지점은 지구와 태양 중력이 상쇄되는 지점으로 매우 안정돼 위치를 이탈하더라도 저절로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. 따라서 망원경이 태양이나 지구로 추락할 염려가 없다. 또 태양이 항상 지구 뒤에 가려 태양 빛 방해 없이 먼 우주를 볼 수 있고 망원경에 설치되는 가림막은 지구와 달에서 반사되는 빛도 막아준다.

JWST는 우주 초기 상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. 빛의 속도(초속 30만㎞)를 감안하면 `아주 먼곳을 볼 수 있다`는 것은 `아주 오래전 모습`을 볼 수 있다는 의미다. 지상 천체 망원경은 약 20억년전, 허블우주망원경은 80~120억년전 우주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된다. 과학자들은 JWST가 137억년으로 추정하는 우주의 첫 천체를 찾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~~~오마이갓

또 `우주적외선`을 관찰하기 때문에 허블이 볼 수 없는 성운의 `속살`도 들춰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 보통 별은 먼지와 가스가 모인 성운 안쪽에서 탄생하기 때문에 일반 망원경으로 관측이 불가능했다. JWST는 별 탄생의 현장을 들여다보는 현미경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.

d2ae53e7652116a6b56bd104d679e0ea_1478217
외계생명체 탐사에도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 지금까지는 대부분 행성이 별에 미치는 중력 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외계행성 존재를 확인했지만 JWST는 외계행성이 내뿜는 적외선을 직접 관찰하기 때문이다.

1996년 첫 계획이 발표된 JWST는 몇차례 연기되며 개발 및 발사비용이 늘었다. 원래 51억달러 예산을 책정해 2014년 발사될 예정이었다. 그러나 몇차례 연기되며 관련 예산이 87억달러까지 늘었다고한다~~~~
​​​​
​​​​
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구글플러스로 보내기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덕후 게시판덕후 게시판 목록
게시물 검색
   덕후랭킹 TOP10
  • 매니아 토마토 1673456/35000
  • 전문가 귀미요미 738258/20000
  • 아마추어 오카베린타로 731867/4000
  • 아마추어 건설로봇S2  721398/4000
  • 아마추어 카리아리 644067/4000
실시간 입문덕후 - 누적덕후 총 253명
  • 0/1000
  • 기기리 니기리짱 0/1000
  • 애니 mikuo 110/1000
  • 채팅 144063/1000
  • 교사로 4… 50/1000
  • 주식 50/1000
  • 자동차 550/1000
  • 오태옥 오태옥 0/1000
  • 시사 건설로봇S2  721398/4000
  • 밀리터리 asasdad 587/1000
실시간 인기검색어
  • 1
  • a
  • gif
새댓글
  • 금일 방문수: 4,839명
  • 금일 새글수: 0개
  • 금일 덕후가입: 0명
  • 금일 회원가입: 0명